여행/중국
11박 12일 중국(상해/경덕진/남창)여행 2일차
-GOYO-
2018. 12. 24. 09:06
2018.12.17~2018.12.28
11박 12일 여행의 기록
- 상해(上海, shànghǎi;상하이)
- 경덕진(景德镇, jǐngdézhèn;징더전)
- 남창(南昌, nánchāng;난창)
날씨가 좋아 원래 페리를 타고(이용료도 2元으로 저렴하다) 동방명주로 가려던 일정 대신 수향마을로 향했다.
강남 6대 수향마을(江南六大古镇, jiāngnán liù dà gǔzhèn/ 영어로는 China Water side Village)은 7세기 초 수나라 양제 때 부터 당, 원, 명대까지 수천년에 걸쳐 만들어진 길이 약 1,794km의 대운하를 따라 형성된 마을들을 말한다. 지역으로 치면 북경에서 항주에 이르는 길이이니 과연 만리장성과 함께 중국의 불가사의로 꼽힐만도 하다.
그 중
- 시탕(西塘, xītáng)
- 우전(乌镇, wūzhèn)
- 남향(南浔, nánxún;난쉰)
- 주장(周庄, zhōuzhuāng;저우좡)
- 동리(同里, tóng lǐ;통리)
- 주가각(朱家角, zhūjiājiǎo;주자자오)
이렇게 6개의 마을이 가장 옛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
어디로 가야할지 한참을 옥신각신하다가 초행길이니 가장 가까운 시탕(西塘, xītáng)을 가기로 결정이 났다.
먼저 상해 시외버스 남역 터미널(上海长途客运南站, shànghǎi chángtú kèyùn nánzhàn)로 가야했다. 인민광장역에서 빨간색 2호선을 타고 상해남역(上海南站, shànghǎi nánzhàn)에서 내려 표지판을 따라 지하도를 걷다보니 매표소에 도착했다. 자동발매기에서는 발권이 안된다. 요금은 편도 36元.
<상해남역터미널 안내 표지판을 따라 걸어갔다>
<시탕임을 알리는 표지판과 비석>
시탕 입장료는 1인당 95元. 나중에 알고보니 시탕 내에 있는 약 15개의 박물관도 입장 가능한 일종의 자유이용권 티켓이 95元이고, 입장만 가능한 티켓은 약 50元인 듯 했다.
<시탕 내부 안내지도>
그 위에는 저마다 사진을 찍으려는 사람이 줄을 이루고 있고, 그 아래에는 배를 타고 고기를 잡는 사람과 나룻배를 타는 여행객들이 떠다녔다.
시탕에 가기 전에 본 가이드 북에서 롱탕을 얼핏 본 것이 기억나서 왠지 보고가야할 것만 같은 기분이 들었다. 농당(弄堂, lòngtáng; 롱탕)은 직역하면 골목, 즉 마을의 민가 사이 좁다란 골목길이다. 그것도 모르고 계속해서 안내원에게 롱탕이 어디냐고 물었으니, 하나같이 왜 그런 난감한 표정들을 지었는지 나중에야 이해가 되었다. 특히 롱탕 중에서도 석피농(石皮弄, shípí nòng;스피농)을 꼭 가보고 싶었는데 도저히 찾을 수 가 없었다.
그런데 나룻배에서 내려 조금 걸어가자 익숙한 풍경이 보였다. 바로 스피농이었다.
한 두 시간쯤 지났을까. 걷고 걸어도 끝이 보이지 않는 마을 틈에서 빠져나왔다. 버스터미널로 돌아가면서 늦은 점심을 먹었다. 짧은 중국어로 그림을 보며 띄엄띄어 주문을 하니 고기국수와 마파두부가 나왔다.
터미널에 도착하니 3시쯤이었는데 4시 반 막차가 하나 남아 있었다. 서둘러 예매를 마치고 퇴근길의 도로와 지하철을 지나 돌아오니 모두 녹초가 됐다.
26,355걸음, 19km를 걸었다며 일러주었다.
11박 12일 여행의 기록
- 상해(上海, shànghǎi;상하이)
- 경덕진(景德镇, jǐngdézhèn;징더전)
- 남창(南昌, nánchāng;난창)
날씨가 좋아 원래 페리를 타고(이용료도 2元으로 저렴하다) 동방명주로 가려던 일정 대신 수향마을로 향했다.
강남 6대 수향마을(江南六大古镇, jiāngnán liù dà gǔzhèn/ 영어로는 China Water side Village)은 7세기 초 수나라 양제 때 부터 당, 원, 명대까지 수천년에 걸쳐 만들어진 길이 약 1,794km의 대운하를 따라 형성된 마을들을 말한다. 지역으로 치면 북경에서 항주에 이르는 길이이니 과연 만리장성과 함께 중국의 불가사의로 꼽힐만도 하다.
그 중
- 시탕(西塘, xītáng)
- 우전(乌镇, wūzhèn)
- 남향(南浔, nánxún;난쉰)
- 주장(周庄, zhōuzhuāng;저우좡)
- 동리(同里, tóng lǐ;통리)
- 주가각(朱家角, zhūjiājiǎo;주자자오)
이렇게 6개의 마을이 가장 옛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
어디로 가야할지 한참을 옥신각신하다가 초행길이니 가장 가까운 시탕(西塘, xītáng)을 가기로 결정이 났다.
먼저 상해 시외버스 남역 터미널(上海长途客运南站, shànghǎi chángtú kèyùn nánzhàn)로 가야했다. 인민광장역에서 빨간색 2호선을 타고 상해남역(上海南站, shànghǎi nánzhàn)에서 내려 표지판을 따라 지하도를 걷다보니 매표소에 도착했다. 자동발매기에서는 발권이 안된다. 요금은 편도 36元.
<상해남역터미널 안내 표지판을 따라 걸어갔다>
<시탕임을 알리는 표지판과 비석>
시탕 입장료는 1인당 95元. 나중에 알고보니 시탕 내에 있는 약 15개의 박물관도 입장 가능한 일종의 자유이용권 티켓이 95元이고, 입장만 가능한 티켓은 약 50元인 듯 했다.
<시탕 내부 안내지도>
그 위에는 저마다 사진을 찍으려는 사람이 줄을 이루고 있고, 그 아래에는 배를 타고 고기를 잡는 사람과 나룻배를 타는 여행객들이 떠다녔다.
시탕에 가기 전에 본 가이드 북에서 롱탕을 얼핏 본 것이 기억나서 왠지 보고가야할 것만 같은 기분이 들었다. 농당(弄堂, lòngtáng; 롱탕)은 직역하면 골목, 즉 마을의 민가 사이 좁다란 골목길이다. 그것도 모르고 계속해서 안내원에게 롱탕이 어디냐고 물었으니, 하나같이 왜 그런 난감한 표정들을 지었는지 나중에야 이해가 되었다. 특히 롱탕 중에서도 석피농(石皮弄, shípí nòng;스피농)을 꼭 가보고 싶었는데 도저히 찾을 수 가 없었다.
그런데 나룻배에서 내려 조금 걸어가자 익숙한 풍경이 보였다. 바로 스피농이었다.
한 두 시간쯤 지났을까. 걷고 걸어도 끝이 보이지 않는 마을 틈에서 빠져나왔다. 버스터미널로 돌아가면서 늦은 점심을 먹었다. 짧은 중국어로 그림을 보며 띄엄띄어 주문을 하니 고기국수와 마파두부가 나왔다.
터미널에 도착하니 3시쯤이었는데 4시 반 막차가 하나 남아 있었다. 서둘러 예매를 마치고 퇴근길의 도로와 지하철을 지나 돌아오니 모두 녹초가 됐다.
26,355걸음, 19km를 걸었다며 일러주었다.